전문가 스키마에서

 

 

확인을 해보니..

etc3 은  우편번호 검색시 사용하고(주소의 앞에 칸)

etc_4 는 주조상세(주소의 뒤에칸)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현재 입력자료가 많아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려구하는데

1) 위의 이미지에서 ( 숫자 )  에서 숫자는 저장할 byte 량으로 한글은 2 숫자는 1에 해당하는것으로

   이해하면 맞는지요?  (즉 20일때는 한글 10자 100 일때는 한글 50자

2) etc 3에 들어가는것이 정확히 우편번호인지? 아니면 우편번호에 해당하는 동까지의 주소인지?

    우편번호라면 10이면 충분하지만 동까지주소라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1동  이라면

   30정도는 필요할듯하여 (차이가 20byte 나 차이가 나서리..)


3) char(100) 으로 되어 있을때  만일 해당 항목에 5글자만 쓴다면..10byte 만 사용하는것인지?

   아니면 5글자만 쓰더라도 chat에 지정된 100byte 가 다 사용되는지요?


4) 현재 char 지정보다는 varchar 지정이 저장용량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수있다고 

   알고 있는데..현재 char 로 지정된것을  etc_1 과 etc_3 처럼 varchar 로 바꾸면

   어떤 문제가 있나요?

   



공유하기
매뉴얼요청
분류
GNB/LNB 메뉴구성
등록자

전옥철

등록일
2012-04-03
버전

댓글 1

홈요강사_3
** 답변에 앞서 어떤 게시판인지 명시가 되어있지 않아 플러그인 게시판을 임의로 수정하시려는 것으로 인식하고 말씀 드릴게요.
1) 한글은 3, 영문은 1 byte 입니다.
2) 그렇긴 한데 공간을 넉넉히 잡고 세팅 하시는 것을 권장해드려요. DB에 저장될 때 공간 좁아서 데이터내용이 증발하면 난감합니다.;;
3) char 의 경우 고정형이고 varchar 의 경우 가변형 입니다. 대신 검색 시에는 char 가 빠릅니다.
4) 3번의 경우와 마찬가지 입니다. 문제는 없습니다. char 의 경우 입력되는 양이 명확히 같은경우(우편번호, 주민번호 같이 입력되는 길이가 매번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유는 3번과 같습니다.
2012-04-03 17:10
사용자포럼(Q&A)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
3568

김태일

04-04
3537

전옥철

04-03
3536

정영원

04-03
3535

오주봉

04-03
3534

김도현

04-03
3515

정영원

04-02
3512

박철우

04-02
3507

황병국

03-31
3477

서웅

03-29
3442

김도현

03-27
3427

김도현

03-27
3412

이성훈

03-26
3409

전옥철

03-26
3405

ysd

03-25
3401

유창우

03-24